티스토리 뷰
도급 공사와 직영 공사는 인테리어 전문 업체가 하는 것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차이가 있습니다.
직영 공사는 내가 어느 정도 윤곽을 정하고 각각 전문가들을 찾아내서 일을 맡기고, 현장 감리와 공정 관리도 직접 하는 것입니다.
즉, 시공만 내가 하지 않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직영공사이고, 도급공사는 아예 업체에 통째로 인테리어의 모든 과정을 맡기는 것입니다.
따라서 도급공사보다는 직영공사가 더 힘들 수도 있습니다.
도급 공사와 직영 공사의 비교
저는 도급 공사보다는 직영 공사를 선호합니다.
성격상 공정 전체를 업체에 통째로 맡겨놓는 것보다는 어느 정도 제가 감독하고 신경을 써야 하는 직영 공사가 더 좋습니다.
인테리어를 단 한 번도 해보지 않은 사람이 시도하기에는 직영 공사는 막막할 수 있습니다.
어떤 것부터 먼저 해야 하는지조차 잘 모를 수 있습니다.
공사를 어디까지 해야 하는지, 견적은 어떻게 받는 것인지, 작업자는 어떻게 구하는지, 현장은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 건지 등등 막막한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더군다나 시간이 촉박할 경우에는 상황이 더욱 심각해집니다.
도급 공사 | 직영 공사 | |
업체 선정 및 계약 | 비교적 쉬움 | 어려움 |
설계 및 디자인 | 업체 | 본인 |
마감재 선정 | 업체의 통한 일괄 협의 | 공정별 직접 선정 |
공사 견적 | 일괄 견적 | 공정별 개별 견적 |
현장 감리 및 공정 관리 | 업체 | 본인 |
대금 지급 조건 | 계약금+중도금+잔금 | 공정별 지급 |
A/S | 가능(하자이행증권) | 어려움 |
공사비 | 많다 | 적다 |
도급 공사는 비용이 많이 들지만 공사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셀프 공사는 퀄리티가 떨어질 수는 있지만 가격 대비 최대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직영 공사 프로세스
먼저 공사 범위를 정확히 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업자들과 협의를 하다 보면 본인이 기준을 잡질 못하고 여기 업체에서는 이렇게, 저기 업체에서는 저렇게 견적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게 되면 아무리 견적을 많이 받더라도 비교가 어렵습니다.
똑같은 기준으로 견적을 받아야만 항목을 비교해 가며 어느 업체가 얼마큼 싼 지를 알 수가 있는데 기준이 달라져 버리면 비교가 잘 안 되기 때문입니다.
공사 범위가 정해지면 자재 스펙을 결정해야 합니다.
자재 스펙이라는 것은 제품의 사양을 말하는 것인데, 마루를 예로 들면 비싸긴 하지만 퀄리티가 좋은 원목 마루로 할 것인지 아니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강마루로 할 것인지, 혹은 가장 저렴한 장판으로 할 것인지를 정하는 것입니다.
다음 단계인 예가 산출 단계에서는 기본적인 자재나 시공비에 대한 단가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예가 산출이 끝나고 나면 예산 내에서 최대한 저렴한 업체를 찾아야 하는데 이 단계가 견적 접수입니다.
업체 견적을 받는 것도 노하우가 있습니다.
공사 지역이 천안인데 안양에 있는 업체에서 견적을 받고 싼 업체라며 계약금부터 덜컥 보냈다가는 공사가 끝나는 내내 골치 아플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는 해당 공사 지역에 위치한 업체를 1순위로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견적 접수를 통해 업체가 선정되면 마감재 선정 단계로 넘어가게 되는데, 해당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자재들 중에서 본인이 구상하고 있는 콘셉트를 가장 잘 표현해 줄 자재를 선택해야 합니다.
직영 공사는 모든 공정을 따로 진행하기 때문에 각 공정별 업체의 마감재를 일관성 있게 선정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때 모델하우스의 디자인 사례들을 접목시키면 보다 효과적으로 선정할 수 있습니다.
마감재까지 선정하고 나면 공정표를 작성해야 합니다.
공정표를 작성할 때는 공정별 순서가 중요합니다.
가령 새시 공사 완료 후에 도장이나 도배 공사를 하고, 창호 공사 완료 후 욕실 벽타일 공사를 하는 식입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공사 순서를 제대로 알고 있어야 유사시에 대처할 수가 있는데, 기준 자체를 모르고 업자들이 원하는 날짜대로만 공정표를 작성하다 보면 공정들이 엉켜 엉망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공정표 작성까지 완료되면 이제 실전입니다.
관리 사무실에 공사 신고를 하고 현장 관리를 직접 해야 합니다.
해당 공정 작업자들이 잘 나왔는지 체크해야 되고, 당일 완료해야 할 작업들을 공사 시작 전에 작업자들에게 제대로 전달해야 합니다.
또한 현장에 상주하면서 작업자들이 묻는 질문과 혹시 발생할 수 있는 민원에 대한 빠른 대응이 가능합니다.
현장 관리까지 끝나면 준공청소를 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 단계를 본인이 직접 하려는 경우가 많은데 되도록 전문 업체에 의뢰하길 권합니다.
며칠 동안 인테리어 공사를 하고 나면 생각지도 못한 작은 먼지와 이물질들이 곳곳에 숨어 있는데, 이 청소를 전문가가 아닌 사람들이 하는 데는 한계가 있고 구석구석 깨끗하게 할 수가 없습니다.
적어도 수백만 원을 들여서 인테리어를 예쁘게 했는데 고작 20~30만 원 때문에 이런 우를 범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여기까지 완료되고 나면 이제 입주를 하거나 임대를 세팅하면 됩니다.
'인테리어 시공 관련 > 인테리어 시공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명 종류 용도 색 온도 밝기 조명 공사 사양 (0) | 2023.01.28 |
---|---|
욕실 전체 수리 비용의 필요 경비 인정 여부 (0) | 2022.12.26 |
인테리어 공사 방법 (0) | 2022.12.08 |
인테리어 견적 잘 받는 꿀팁 방법 (0) | 2022.12.05 |
인테리어 골조 마감 홈퍼니싱 (0) | 2022.11.16 |